알뜰교통카드의 단점을 커버하고, 혜택을 더욱 늘린 K-패스 카드가 2024년 5월 출시됩니다.
K-패스는 무엇인지, K-패스 사용방법, 신청방법, 알뜰교통카드를 K-패스로 전환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리니, 끝까지 읽어보시고 궁금하셨던 정보 알아가시기 바랍니다.
목차
- 알뜰교통카드에서 K-패스 전환 방법
- K-패스 신규 발급 방법
- 사용방법
- K-패스가 뭔가요? (혜택)
- K-패스 사용범위
- 기존 알뜰카드 사용자라면?
-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서울시민이라면 필독!
알뜰교통카드에서 K-패스 전환방법은?
현재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분들은 ① 알뜰교통카드 번호, ② 주소지 검증을 위한 주민등록번호, ③ 이용약관 동의를 통해 간단하게 회원전환이 가능합니다.
📣 K-패스 전환 순서
- 알뜰교통카드 모바일 앱 상단의 배너 클릭(또는 www.alcard.kr. 접속 후 메인화면의 K-패스 회원 전환 안내 클릭)
- 주민등록번호 입력
- 카드번호 입력
- 이용약관 동의 후 K-패스 전환 동의 클릭
- 전환 완료!
알뜰교통카드에서 K-패스로 전환을 완료했다면, K-패스가 시행되는 5월 1일부터 즉시 K-패스 혜택을 적용받게 됩니다.
참고로, 알뜰교통카드 앱에서는 4월 30일까지, 누리집에서는 6월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에서 K-패스로의 전환이 가능합니다.
K-패스 신규발급은 어떻게 하나요?
K-패스 발급을 원하시는 분들은 5월부터 K-패스 공식누리집(korea-pass.kr)에 접속하셔서 원하는 교통카드 상품을 고른 후, 발급받으시면 됩니다.
K-패스 사용방법
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려면 앱을 통해야 했던 것과 달리, K-패스는 교통카드 방식으로 사용하게 될 예정입니다.
신용카드처럼 후불식으로 결제되는 카드는 추후에 결제 시 할인 적용된 금액만큼만 차감되며, 선불식 카드는 다음 달에 할인된 금액을 자동으로 충전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
· 선불식 결제 할인금액을 다음 달에 충전해 주는 방식
· 후불식 결제 할인 적용된 금액을 차감하는 방식
K-패스가 뭔가요?
K-패스는 2024년 5월에 출시 예정인 사업으로, 지하철이나 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 횟수에 비례해서 요금을 환급해 주는 통합권입니다.
기존 알뜰교통카드가 이동거리 요건이 있었던 것과 달리 K-패스는 이동거리와 무관하며,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월 최대 60회까지 지출한 교통비의 20~53%를 적립하여 환급해 주는 서비스입니다.
현재 1,500원인 서울 시내버스 요금을 기준으로 하면, 일반인은 연 21만 6천 원, 청년층은 32만 4천 원, 저소득층은 57만 6천 원을 환급받는 것이 가능합니다.
따라서, 평소 통학 혹은 출퇴근 시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무조건 K-패스를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· 일반인 적립률 20%
· 청년층(만 19~34세) 적립률 30%
· 저소득층(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) 적립률 53%
■ 교통비에 따른 적립률 예시
구분 | 적립률 | 교통비 1,500원 |
교통비 2천 원 |
교통비 3천 원 |
일반인 | 20% | 300원 | 400원 | 600원 |
청년 | 30% | 450원 | 600원 | 900원 |
저소득 | 53% | 800원 | 1,070원 | 1,600원 |
K-패스 사용범위
K-패스는 전철, 시내버스, 마을버스, 농어촌버스, 광역버스, 신분당선, GTX 등 다양한 대중교통에서 사용가능하며,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 189개 시군구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즉, 고창, 속초처럼 인구수가 10만 명 이하인 지자체를 제외하면 전국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습니다.
기존 알뜰카드 사용자라면?
K-패스 카드가 2024년 5월부터 시행됨에 따라서,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4월 30일 부로 종료되게 됩니다. 카드를 다시 발급받을 필요는 없으며, 현재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계신 분들은 간단한 회원 전환 절차를 통해 케이패스(K-패스)로 전환하시면 됩니다.
4월 30일까지 회원 전환을 완료하시면 5월 1일부터 케이패스의 혜택을 받으실 수 있으며, 회원 전환은 6월 30일까지 가능합니다. 또한 알뜰교통카드 이용내역 및 적립금액은 6월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점,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서울시민이라면 필독!
서울시에 거주하는 분들 중에서 평소에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편이라면, K-패스와 기후동행카드를 잘 비교해 보신 후 선택해 보세요.
K-패스가 연 최대 22만 원가량 환급(일반인 기준)이 되며, 기후동행카드는 월 62,000원에 서울시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.
따라서, 본인의 한 달 교통비를 잘 계산해 보신 후, 어떤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이득인지 정확하게 따져보시는 것이 좋습니다.
'당신이 꼭 알아야 할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40만원 지원대상 및 신청방법 (0) | 2024.04.08 |
---|---|
서울시 청년 이사비 지원 제출서류 및 지급시기 알아보자! (0) | 2024.04.08 |
보건증 발급방법, 비용, 준비물, 인터넷 발급방법 등 총정리 (0) | 2024.04.03 |
2024년 청약제도 개편! 혼인신고 시 청약 유리, 중복 청약 가능 (0) | 2024.04.02 |
중소기업 청년노동자 지원사업 신청기간, 신청방법, 지원금액 (0) | 2024.04.02 |